- DSM-5의 변화와 문제에 대한 개관
- An Overview of DSM-5's Changes and Controversies
- ㆍ 저자명
- 고진경
- ㆍ 간행물명
- 한국심리치료학회지KCI
- ㆍ 권/호정보
- 2013년|5권 2호(통권10호)|pp.1-11 (11 pages)
- ㆍ 발행정보
- 한국심리치료학회|한국
- ㆍ 파일정보
- 정기간행물|KOR| PDF텍스트(0.26MB)
- ㆍ 주제분야
- 심리학
13년간의 개정 작업 끝에 2013년 5월 출간된 DSM-5는 정신건강 분야의 임상 진단, 치료계획, 약물선택, 연구계획에 중요한 지침서로서 임상적 유용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진단준거로 많은 임상가들이 사용하고 있는 DSM-5는 이전 판에 비해 구조와 내용에서 큰 변화를 보였다. 본 논문에서는 DSM-5에서 변화된 것은 무엇이며, 변화의 이유와 변화에 따른 논쟁점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On May 18, 2013, the DSM-5 was released. It guides clinical diagnoses, treatment plans, medication choices, and research agendas and will serve as reference manual for clinicians. The DSM-5 used by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providers is undergoing significant changes in organization and content relative to the previous edition. This article provides a general overview of what is new in DSM-5.
DSM-5 구성의 변화 DSM-5의 변화된 진단 범주 및 논쟁점 결 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