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세기 청소년상담모형의 방향
- ㆍ 저자명
- 박성수
- ㆍ 간행물명
- 청소년상담연구KCI
- ㆍ 권/호정보
- 1997년|5권 1호|pp.7-38 (32 pages)
- ㆍ 발행정보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한국
- ㆍ 파일정보
- 정기간행물|KOR| PDF텍스트
- ㆍ 주제분야
- 사회복지학
21 세기의 청소년 상담 모형의 방향은 20세기에 이룩한 업적을 계승하면서 21 세기의 새로 운 도전을 성공적으로 다루어 갈 수 있도록 청소년 상담의 여러 측면이 새로운 파라다임 으로 재구성되어야 할 필요가 절실하다. 청소년 상담의 목표로는 문제해결y 치료y 예방/ 발 달, 그리고 탁월성의 추구를 들 수 있다. 청소년 상담의 대상으로는 창조적이고 탁월한 집 단/ 잠재적 창조성과 탁월성을 지닌 집단/ 보통의 정상적 집단/ 잠재적 부적응 집단/ 그리 고 부적응 집단을 들 수 있다. 청소년 상담의 내용으로는 자。L 대인관계/ 놀이와 여가활 동y 학업l 그리고 직업이다. 청소년 상담의 개입전략 또한 개인상담 중심, 가족중심/ 학교중 심/ 직장중심/ 그리고 지역사회 중심의 개입전략을 구상할 수 있다. 또한 청소년 상담이 학 문 체제I 봉사 체제/ 제도적 체제l 법적 체제I 그리고 생활문화 체제 속에서 제자리를 잡아 야 할 것이다.
I. 21세기와 청소년 상담 II. 청소년상담의 목표설정 1. 문제해결 2. 치료 3. 예방 4. 발달 5. 탁월성 III. 청소년상담의 대상 1. 창조적이고 탁월한 집단 2. 잠재적 창조성과 탁월성의 집단 3. 보통의 정상적 집단 4. 잠재적 부적응집단 5. 부적응집단 IV. 청소년상담의 내용 1. 자아 2. 대인관계 3. 놀이와 여가활동 4. 학업 5. 직업 V. 청소년상담의 개입전략 1. 개인상담중심의 개입전략 2. 가족중심 개입전략 3. 학교중심 개입전략 4. 직장중심 개입전략 5. 지역사회중심의 개입 VI. 청소년상담의 체제 1. 학문 체제 2. 봉사 체제 3. 제도적 체제 4. 법적 체제 5. 생활문화 제제 VII. 청소년상담의 21세기를 위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