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주민 문화적응에 관한 여가연구 동향
- Research Trend on Leisure and Acculturation of Immigrant
- ㆍ 저자명
- 손영미,오세숙
- ㆍ 간행물명
- 여가학연구KCI
- ㆍ 권/호정보
- 2012년|10권 1호(통권28호)|pp.1-27 (27 pages)
- ㆍ 발행정보
- 한국여가문화학회|한국
- ㆍ 파일정보
- 정기간행물|KOR| PDF텍스트(0.29MB)
- ㆍ 주제분야
- 예체능
이주민의 수가 급증하고, 다문화사회로 변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체류 이주 민의 문화적응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주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 요성을 바탕으로 여가학 분야에서의 문화적응 이론 및 관련 연구들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국내 연구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몇 가 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문화적응에 대한 주요 여가연구이론으로 1960~70년대의 주요 이론인 사회경제적 소외이론과 민족하위문화이론을 살펴보았 다. 동화이론과 확장모델, Berry의 문화적응이론과 확장모델, 그리고 비교문화심리 학적 접근의 문화적응연구에 대한 한계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여가와 문 화적응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을 1) 연도별 논문발간 현황, 2) 주요 연구주제 및 적용이론, 3) 연구방법론, 4) 연구대상자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결과 를 토대로 결론에서는 향후 여가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ccording as the number of immigrants has dramatically increased since last 10years, immigrants\' acculturation has become a matter of great importance to Korean society. This study reviews theories on acculturation in leisure studies, specifically marginality vs ethnicity theory, assimilation theory and it\'s extended models, Berry\'s box and it\'s extended models, and cross-cultural vs cultural perspectives on acculturation research. Moreover, It also examines domestic research trend for some aspects such as the number of publishing articles a year, major issues and theories applied to domestic studies, methodology and employees. Finally, some kinds of suggestion for domestic studies in the near future are discussed.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여가와 문화적응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