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사회에서의 학력의 사회적 가치변화 연구(RR2002-15)
- ㆍ 저자명
- 홍영란,hyr,KEDI
- ㆍ 간행물명
-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 ㆍ 권/호정보
- 2002년|
- ㆍ 발행정보
- 한국교육개발원|한국
- ㆍ 파일정보
- 연구보고서|KOR| PDF텍스트
- ㆍ 주제분야
- 교육학
< 차 례 > Ⅰ. 연구의 문제 및 배경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3 2. 연구 문제 및 연구 내용 | 7 3. 연구 방법 | 9 4. 용어의 정의 | 12 5.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 | 12 6. 연구 인력 | 13 Ⅱ. 학력과 학력주의 개념 및 선행연구 고찰 | 15 1. 학력․학벌 및 학력․학벌주의 개념 | 17 가. 학력, 학력주의, 학력주의 사회의 개념 | 17 나. 학벌, 학벌주의, 학벌주의 사회의 개념 | 19 2. 학력 및 학력주의 관련 선행연구 고찰 | 20 가. 외국 선행연구 | 20 나. 국내 선행연구 | 31 Ⅲ. 한국 사회에서 학력주의의 형성과 발달 | 43 1. 과거 파종기의 고려시대: 학력․학벌의 발아기 | 46 2. 유생 양반의 조선시대: 학력․학벌의 발육기 | 49 가. 조선시대 양반의 개념과 양반의 성립․발전 과정 | 49 나. 조선시대의 과거제도와 교육문화 | 52 3. 조선말 개화기(갑오개혁 전후시기) 및 일제시대: 학력주의의 태동기 | 65 가. 조선말 개화기 | 65 나. 일제 식민지시대 | 67 4. 해방이후 대한민국시대: 학력․학벌주의의 형성기 및 정착기 | 81 가. 미군정시대 | 82 나. 대한민국시대 | 86 1) 초기문민정부시기(1948-1960년) | 87 2) 군사정부시기(1961-1987년) | 93 3) 제2기 문민정부시기(1988년-현재) | 103 Ⅳ. 현대 한국 사회에서의 학벌문화와 학력․학벌의 사회경제적 가치 | 129 1. 대학과 학벌문화 | 131 가. 학벌문화의 고착화 | 131 나. 첨예화 된 학벌문화의 실상 | 135 2. 한국 사회에서의 학력․학벌의 사회경제적 가치 | 142 가. 학력․학벌의 사회경제적 가치에 대한 정의 | 143 나. 사회경제적 가치의 구성 요소 | 146 Ⅴ. 한국 사회의 학력․학벌에 대한 실증적 분석 | 155 1. 학력․학벌의 가치에 관한 실태조사 결과 분석 | 157 가. 우리 사회의 학력⋅학벌에 관한 문제의식 | 157 나. 실태조사의 개요 | 158 다. 실태조사의 내용 분석 | 160 라. 실태조사 결과가 주는 시사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