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안전망 구축을 위한 신안·무안군 지역 사례 연구(CR2007-15)
- ㆍ 저자명
- 김수정,지희정
- ㆍ 간행물명
-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 ㆍ 권/호정보
- 2007년|
- ㆍ 발행정보
- 한국교육개발원|한국
- ㆍ 파일정보
- 연구보고서|KOR| PDF텍스트
- ㆍ 주제분야
- 교육학
<차 례> Ⅰ. 연구의 개요 | 3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3 2. 연구내용 | 6 가. 교육안전망 구축을 위한 지역의 특성 분석 | 6 나. 지역 내 교육 취약집단 현황 | 8 3. 연구방법 | 10 가. 문헌, 문서 자료 분석 | 10 나. 설문 및 면담조사 | 10 1) 설문대상 | 10 2) 조사도구 | 11 3) 분석방법 | 12 Ⅱ. 농어촌교육지원정책의 특징 및 만족도 | 15 1. 농어촌 교육지원 정책의 특징 | 15 가. 농어촌 교육지원정책의 종류 및 특징 | 16 1) 학교 학생의 교육기회 강화 | 16 2) 농산어촌학교 학생의 교육부담 부담 감소 | 19 3) 농산어촌 학교 교원 근무여건 및 교육환경 개선 | 20 2. 농어촌 교육지원 사업 및 만족도 | 23 가. 농촌지역 학교 수 및 학생 가정배경 인식 | 23 나. 농촌학교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 23 다. 각 급 학교 만족도 | 23 라. 교육의 여건과 개선요구 | 24 마. 교사의 학교 교육여건 만족도 및 개선요구 | 24 바. 학부모들의 자녀교육 지원요구 | 24 사. 이촌 취학 | 25 Ⅲ. 신안·무안지역 현황 | 29 1. 신안·무안지역 현황파악 | 29 가. 신안군 지역 현황 파악 | 29 1) 신안군청의 중점사업 | 29 2) 일반개황 | 31 3) 인구학적 특성 | 32 4) 사회경제적 특성 | 34 나. 무안군 지역 현황 | 35 1) 지리적 특성과 비전 | 35 2) 인구학적 특성 | 36 3) 사회경제적 특성 | 38 2. 신안·무안지역 교육현황 | 39 가. 신안지역 교육현황 | 39 나. 무안지역 교육현황 | 49 1) 학교현황 | 49 2) 각 학교 급별 학생과 교원확보현황 | 50 3) 사설 교육기관과 사회교육기관 | 55 다. 신안·무안지역 평생학습기관의 운영 | 58 3. 신안·무안지역 취약집단 및 교육지원 현황 | 61 가. 신안군 지역 취약집단 및 교육지원 현황 | 61 1) 신안군 취약집단 현황 | 61 2) 신안군 취약집단 지원 현황 | 63 나. 무안지역 취약집단현황 및 교육지원 현황 | 67 1) 결손가정이나 이주여성 자녀의 현황 | 67 가) 유아와 초등 | 67 나) 중학교 | 69 다) 고등학교 | 69 라) 이주여성 자녀 | 70 2) 무안지역 교육지원 사업 | 71 3) 방과 후 학교 저소득층수강보조 | 72 4) 저소득층 자녀 pc지원 학교별 현황 | 74 4. 주요 학습지원 네트워크 | 75 가. 소규모 학교 간 협동교육 실시 | 75 1) 협동교육의 추진 방향 | 76 2) 가 섬(島)·나 섬·다 섬의 협동교육 운영 방식 | 77 3) 협동교육 공동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 | 78 4) 협동교육 여건 조성 | 80 5) 협동교육에 대한 학생, 학부모, 교사들의 기대와 반응 | 83 나. 방과 후 학교 운영 지원 방안 | 85 1) 방과 후 학교 운영현황 및 문제점 | 86 다. 지역교육청의 지원 사업 | 92 Ⅳ. 교육실태조사 결과 및 분석 | 95 1. 연구방법 | 95 가. 조사대상 | 95 1) 학생 | 95 2) 학생의 보호자 | 96 3) 교사 | 96 4) 다문화가정여성 | 97 5) 지방자치단체 관계자 | 97 나. 조사도구 | 97 1) 설문지 | 97 가) 학생용 | 97 나) 학부모용 | 101 다) 교사용 | 106 2. 조사결과 | 109 가. 설문조사 결과 | 109 1) 학생/학부모 | 109 가) 전체 | 109 나) 집단간 비교(지역, 월수입, 성적, 부모학력, 부모직업) | 128 2) 교사 | 156 가) 전체적 경향 분석 | 156 나) 집단 간 분석 | 161 나. 면담 | 177 1) 학생면담 | 1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