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적 자본 지표 개발 및 측정에 관한 연구(RR2007-16)
- ㆍ 저자명
- 김태준,tjkim,KEDI 현영섭,소진광,이승희
- ㆍ 간행물명
-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 ㆍ 권/호정보
- 2007년|
- ㆍ 발행정보
- 한국교육개발원|한국
- ㆍ 파일정보
- 연구보고서|KOR| PDF텍스트
- ㆍ 주제분야
- 교육학
< 차 례 >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3 2. 연구내용 | 7 3. 연구방법 | 9 4. 연구모형 | 10 Ⅱ. 사회적 자본 측정 동향 | 13 1. 국내의 사회적 자본 측정 연구 분석 | 15 2. 해외의 사회적 자본 측정 동향 분석 | 17 3. 측정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적 시사점 | 61 Ⅲ. 사회적 자본 측정 지표 | 69 1. 사회적 자본 측정 지표의 개념 | 71 2. 사회적 자본 측정 지표 개발 모형 및 구조 | 74 3. 사회적 자본 측정과 지역사회 유형화 | 80 Ⅳ. 사회적 자본 측정 결과 | 91 1. 사회적 자본 측정 조사 개요 | 93 2. 시민의식 및 사회참여 영역 측정 결과 분석 | 105 3. 신뢰 및 관용성 영역 측정 결과 분석 | 129 4. 네트워크 및 파트너십 영역 측정 결과 분석 | 196 5. 사회적 자본 영역별 측정 결과 종합 분석 | 233 Ⅴ. 사회적 자본 측정 지수 | 241 1. 사회적 자본 측정 지수의 개념 및 개발 모형 | 243 2. 사회적 자본 측정 지수 산출 | 246 Ⅵ. 사회적 자본 측정 영역별 정책 제언 | 257 1. 시민의식 및 사회참여 영역 | 259 2. 신뢰 및 관용성 영역 | 261 3. 네트워크 및 파트너십 영역 | 263 참 고 문 헌 | 267 ABSTRACT | 279 부 록 | 285 표차례 <표 Ⅰ- 1> 사회적 자본 측정을 위한 연구모형 | 12 <표 Ⅱ- 1> SCCBS 사회적 자본 구성 요인 및 설문 내용 | 21 <표 Ⅱ- 2> 영국의 사회적 자본 측정 구조 | 28 <표 Ⅱ- 3> 연령그룹별 사회적 자본 지표들 | 30 <표 Ⅱ- 4> 국가 통계 옴니버스 조사의 사회적 자본 측정 구조 | 32 <표 Ⅱ- 5> 캐나다 공공정책연구소의 사회적 자본 측정 지표 | 39 <표 Ⅱ- 6> 캐나다 통계청의 사회조사 개관 | 41 <표 Ⅱ- 7> 국가인구건강조사의 사회적 네트워크 측정 문항 | 42 <표 Ⅱ- 8> 지역사회건강조사의 사회적 네트워크 측정 구조와 문항 | 43 <표 Ⅱ- 9> 학습의 사회적 성과 프로젝트의 사회적 자본 측정 구조 | 47 <표 Ⅱ-10> 사회적 자본의 정의 또는 구성요소 | 56 <표 Ⅱ-11> World Bank 연구물의 사회적 자본 측정 구조 | 57 <표 Ⅱ-11> World Bank 연구물의 사회적 자본 측정 구조(계속) | 58 <표 Ⅲ- 1> 바람직한 지표의 요건 | 72 <표 Ⅲ- 2> 사회적 자본 설문조사대상 지역사회 유형화 | 89 <표 Ⅳ- 1> 사회참여 및 시민의식 측정 지표 | 94 <표 Ⅳ- 2> 신뢰 및 관용성 측정 지표 | 95 <표 Ⅳ- 3> 네트워크 및 파트너십 측정 지표 | 96 <표 Ⅳ- 4> 표본 모수 및 표집 방법 | 97 <표 Ⅳ- 5> 표본 추출 지역 유형화 | 99 <표 Ⅳ- 6> 표집 대상 초등학교 명단 | 100 <표 Ⅳ- 6> 표집 대상 초등학교 명단(계속) | 101 <표 Ⅳ- 6> 표집 대상 초등학교 명단(계속) | 102 <표 Ⅳ- 6> 표집 대상 초등학교 명단(계속) | 103 <표 Ⅳ- 6> 표집 대상 초등학교 명단(계속) | 104 <표 Ⅳ- 7> 설문지 배포 및 회수 현황 | 105 <표 Ⅳ- 8> 권역별 및 지역별 교통질서 준수 빈도표 | 106 <표 Ⅳ- 8> 권역별 및 지역별 교통질서 준수 빈도표(계속) | 107 <표 Ⅳ- 9> 권역별 및 지역별 연간봉사활동 참여횟수 빈도표 | 109 <표 Ⅳ-10> 권역별 및 지역별 정치이슈 의견제시 빈도표 | 110 <표 Ⅳ-10> 권역별 및 지역별 정치이슈 의견제시 빈도표(계속) | 111 <표 Ⅳ-11> 권역별 및 지역별 정치 시사 관심 빈도표 | 113 <표 Ⅳ-12> 권역별 및 지역별 자녀와 보내는 시간 빈도표 | 114 <표 Ⅳ-12> 권역별 및 지역별 자녀와 보내는 시간 빈도표(계속) | 115 <표 Ⅳ-13> 권역별 및 지역별 연간 이웃돕기 참여횟수 빈도표 | 117 <표 Ⅳ-14> 권역별 및 지역별 일상대화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