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방법으로 학습장애 연구의 지식구조와 시기별 동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한국학습장애학회가 발간한 학술지 『학습장애연구』 를 대상으로 KCI 데이터베이스와 RISS를 통해 창간호(2004)부터 제17권 1호(2020)까지 출판된 논문 총 360편을 수집한 후 네트워크분석 하였다. 추출한 총 1,495개의 키워드는 정제과정을 거친 후 지식구조 파악을 위해 NetMiner 4.4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단어동시출현 행렬을 전체 기간 및 시기별로 나누어 구조적 속성, 노드 수준의 중심성, 그리고 클러스터 분석을 하고 이를 반영한 주요결과를 시각화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국내 『학습장애연구』 의 지식의 속성은 전반적으로 하위지식간 연결성이 낮고 동시에 ‘학습장애’ 키워드를 중심으로 중심화 경향이 있으며 전체적으로 느슨한 네트워크 특징을 보였다. 둘째, 노드 수준의 중심성을 분석한 결과 ‘학습장애’를 비롯하여 CBM, 읽기, 학습부진, 메타분석, 수학, 통합교육, 중재반응모형, 읽기학습장애, 직접교수 등의 키워드가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근접중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기별로 약간의 변화를 보였다. 셋째, 전체 클러스터 분석 결과 ‘메타분석’, ‘학습장애’, ‘교수적수정’, ‘읽기이해, 읽기학습장애’, ‘학습부진’, ‘신뢰도, 타당도, CBM’’, ‘통합교육’과 관련된 분야가 7개의 지적 하위구조를 형성하고 시기별로 핵심주제에 따른 클러스터링의 차이가 나타났다. 전반적인 특성과 시기별 변화양상을 살펴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함의와 향후 국내 학습장애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