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목적은 현장 교사들의 시각에서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 아동을 위한 집중교수(intensive intervention)의 요건을 재 개념화하고, 개별화 교수 수정의 절차와 유형을 제시하는 데 있다.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 아동들에게 가장 집중적 형태의 개별화 교수를 실시해야 한다는 데는 많은 사람이 동의하지만 정작 현장에서 교사들이 어떠한 요건을 갖춘 교수 프로그램을 선정해야 하며, 이후 교수 수정 시 어떤 기준에 의해 어떠한 유형의 수정을 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논의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1) 최근 국외 학자들 및 기관에서 제시한 집중교수 평가를 위한 영역(효과성, 중재횟수, 연계성, 포괄적 명시적 교수 원리, 인지, 초인지 및 행동 지원)을 예시와 함께 제시하고, 2) 교사들이 교수에 대한 아동의 반응에 기반 하여 교수 수정을 시행하기 위한 과학적인 절차(데이터기반교수, Data-Based Instruction) 및 수정의 유형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교사들의 효과적인 증거기반교수 평가 및 선정과 교수 수정을 위한 향후 학습장애⋅학습부진 분야 연구 및 지원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