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최근 10년 간 국외에서 수행된 난독증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의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7년부터 2018년 상반기까지 최근 10년간 국외 학술지에 영어로 발표된 난독증 성인을 대상으로 한 48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논문분석을 위해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분석틀을 구성하였다. 선정된 논문의 일반적 특징을 기술하고 연구주제와 방법으로 분류한 후 주제에 따라 특성연구와 정서연구, 평가연구, 기타연구로 분류하여 연구에서 제시하는 연구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48편의 논문의 연구방법으로는 조사연구가 21편(약 44%)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주제의 경우 26편(약 54%)이 난독증의 특성을 고찰하고 있었다. 둘째, 특성연구를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난독증의 특성인 읽기 유창성과 철자 등의 어려움은 시간이 지나도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연구의 경우 대부분의 난독인들은 학교에서의 부정적 정서적 경험의 영향을 강력하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평가 및 기타 연구의 경우 평가연구에서는 간편하고 접근성이 좋은 진단도구 개발을 모색하고 있었으며, 또한 난독증이 직업선택, 승진, 육아 등 일상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개인의 문제이자 동시에 사회적 문제이기도 한 난독증에 대한 연구들이 다양한 영역에서 활발하게 수행되어져야 할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