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형 학습장애 개념에 대한 고찰
- Thinking the Korean Concept of Learning Disabilities
- ㆍ 저자명
- 김애화,김의정
- ㆍ 간행물명
- 학습장애연구KCI
- ㆍ 권/호정보
- 2012년|9권 1호(통권18호)|pp.41-65 (25 pages)
- ㆍ 발행정보
- 한국학습장애학회|한국
- ㆍ 파일정보
- 정기간행물|KOR| PDF텍스트(0.7MB)
- ㆍ 주제분야
- 특수교육학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학습장애 개념을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1960년대부터 현 재까지의 발표된 국내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난 50년간 소개된 학습장애 개념의 유형을 파악하였다. 그 다음, 국내․외 연구 결과 분석을 통해 각 학습장애 개념의 유형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한국형 학습장애 개념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한국형 학습장애 개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절대적 학업 성취도 기준을 적용하여 현저하게 낮은 학업 성취도를 보이는 학생이어야 한다. 둘째, 지능은 70 이상 이어 야 한다. 셋째, 위의 두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지능에 비해 낮은 학업 성취도를 보일 때, 지 능과 같은 수준의 학업 성취도를 보일 때, 지능에 비해 높은 학업 성취도를 보일 때 모두 학습장애로 볼 수 있다. 넷째, 위의 세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사회 및 경제적 문제가 있다고 해서 학습장애 진단에서 배제 하지 않아야 한다. 다섯째, 현저하게 낮은 심리처리능력을 보 이는 학생이어야 하며, 이러한 심리처리 및 인지적 결함은 학습장애의 원인으로 보아야 한 다. 여섯째, ‘현저하게 낮다’의 기준은 학업 성취도와 심리처리 검사 결과 16백분위(-1SD) 이 하로 둬야 한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를 요약 및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e Korean concept of learning disabiliti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review of Korean articles about learning disabilities was conducted to identify Korean subtypes of learning disabilities in the past 50 years. Next, a review of the predominant research findings with respect to each subtype of learning disabilities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e theoretical basis for each subtype.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concept of learning disabilities: (a) demonstrating low achievement in achievement, (b) showing > 70 IQ, (c) if satisfy requirements of (a) and (b), can be diagnosis as LD when achievement is lower than IQ, is equivalent to IQ, or higher than I low achievement, (d) if satisfy requirements of (a), (b), and (c), can be diagnosis as LD when students are from social and economic disadvantaged background, (e) demonstrating low achievement in psychological processes, and (f) using a cut-off score at or below the 16th percentile in both achievement and psychology processes. Results were summarized and the study limitations were discussed.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학습장애 개념에 관한 국내 문헌 분석을 통한 학습장애 개념의 유형 파악 Ⅲ. 학습장애 개념의 유형에 대한 이론적 근거 제시를 통한 한국형 학습장애 개념 고찰 Ⅳ.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