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저소득층 아동들의 학교준비도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인지 및 사회-정
서 발달과 이후 읽기와 수학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종단연구 모형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유치원부터 초
등학교 5학년까지의 미국 아동들의 종단적 자료(ECLS)를 사용하였으며 유치원, 3학년,
5학년의 세 시점에 모두 참여하고 빈곤수준 이하 수준의 생활환경에 살고 있는 1,730
명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인지적 준비도와 행동적 준비도가 읽기와
수학성취도 각각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며 자아-개념과 사회적 기술을 매개한 간접적
영향도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기술과 자아-개념도 읽기와 수학성취에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준비도(인지적 준비도와 정서
적 준비도)의 중요성을 타당화하고 이러한 학교준비도가 저소득층 아동들의 인지와 사
회-정서 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함으로써 장기적으로 저소득층 아동의 학
교 적응과 성취를 증진하도록 돕기 위하여 학교 입학 전 학교준비를 시키는 개입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교육적 시사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