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단미술치료가 정서행동문제를 지닌 학령기아동의 정서 인식 및 표현과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효과
- ㆍ 저자명
- 신명진(Shin Myeong-jin),권영란(Kweon Young-ran)
- ㆍ 간행물명
- 미술치료연구KCI
- ㆍ 권/호정보
- 2018년|25권 2호(통권95호)|pp.245-262 (18 pages)
- ㆍ 발행정보
- 한국미술치료학회|한국
- ㆍ 파일정보
- 정기간행물|KOR| PDF텍스트(1.06MB)
- ㆍ 주제분야
- 심리학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가 정서행동문제를 지닌 학령기아동의 정서 인식 및 표현과 스트레스 대처능 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활용한 유사 실험 연구이 다. 연구대상자는G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4곳에 재학 중인 만 9∼11세(4∼6학년)의 학령기아동이었다. 연구기간 은 2015년 6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로 연구집단에 속한 대상자들을 세 집단으로 나누어 7∼8명의 아동을 구분 하여, 각 집단별로 매주 90분으로 총 6회기를 진행하였다. 자료수집은 프로그램 시작 전과 후에 대상자가 직접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통계분석은 연구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정과 집단미술치료 이후 정서 인식 및 표현과 스트레스 대처능력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로 사후검정 하였다. 또한 질적자 료분석은 주제내용분석(thematic content analysis) 방법에 따라 회기별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 집단과 비교집단의 정서 인식 및 표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2.076, p=.043). 둘째, 연구집단 과 비교집단은 스트레스대처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냈다(t=2.052, p=.046). 셋째, 질적자료 분 석 결과 집단구성원들의 스트레스대처능력과 정서 인식 및 표현의 유의한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향후 학교 에서 교사가 정서행동문제를 지닌 아동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가 정서행동문제를 지닌 학령기아동의 정서 인식 및 표현과 스트레스 대처능 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활용한 유사 실험 연구이 다. 연구대상자는G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4곳에 재학 중인 만 9∼11세(4∼6학년)의 학령기아동이었다. 연구기간 은 2015년 6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로 연구집단에 속한 대상자들을 세 집단으로 나누어 7∼8명의 아동을 구분 하여, 각 집단별로 매주 90분으로 총 6회기를 진행하였다. 자료수집은 프로그램 시작 전과 후에 대상자가 직접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통계분석은 연구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정과 집단미술치료 이후 정서 인식 및 표현과 스트레스 대처능력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로 사후검정 하였다. 또한 질적자 료분석은 주제내용분석(thematic content analysis) 방법에 따라 회기별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 집단과 비교집단의 정서 인식 및 표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2.076, p=.043). 둘째, 연구집단 과 비교집단은 스트레스대처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냈다(t=2.052, p=.046). 셋째, 질적자료 분 석 결과 집단구성원들의 스트레스대처능력과 정서 인식 및 표현의 유의한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향후 학교 에서 교사가 정서행동문제를 지닌 아동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