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가족생활주기별 부부의 부부관계신념 지각과 적용, 유사성이 배우자의 긍정적 행동 만족에 미
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여 이 결과를 부부치료 시에 활용할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둔다. 조사대상자
는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며 신혼기, 미취학자녀기, 취학 자녀가 있는 부부 각 190쌍으로 총 570쌍의 부부
였으며, 부부 부부관계신념 지각과 적용, 배우자의 긍정적 행동 만족 척도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c 18.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연구문제 분
석을 위해서 상관관계분석, t-test, ANOVA,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부부관계신념 지각과 신념 유사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주기별로 차이가 나타났고 실제생활의 적용에서는
신혼기 부부가 가장 잘 적용된다고 여기고 있었다. 하위영역별로 외부와의 경계 신념은 신혼기와 학령기 집
단에서, 배우자의 힘-통제신념, 부부간 투자신념 지각은 신혼기, 미취학기와 학령기 집단에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가족생활주기별 배우자의 긍정적 행동 만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배우자의 애정적 행동, 도구적 행동,
돌봄 행동에 대한 만족감은 각 주기별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셋째, 각 주기별 긍정적 행동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차이가 있다. 신혼기 부부는 학력, 결혼유형, 배우자에 대한 힘-통제 신념의 유사성, 관계투자
신념 적용정도의 변인이 배우자의 긍정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미취학자녀를 둔 부부는 결혼기간,
종교일치성, 부부간 경계신념 지각, 배우자에 대한 힘-통제와 관계투자 신념 유사성, 경계신념 적용 정도가
배우자의 긍정적 행동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학령기 자녀를 둔 부부는 결혼기간, 결혼유형만이 배우자
의 긍정적 행동 만족에 영향을 주는 변인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가족생활주기에 따라서 부부의
동일한 행동에 대한 만족에 영향을 주는 변인이 차이가 있음으로 부부치료에서 부부간 긍정적 상호작용을
위한 개입 시에도 가족생활주기, 그들의 부부관계신념의 기대정도, 유사성, 일상생활의 적용 정도 등을 고려
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