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덴마크의 육아정책 동향
- ㆍ 저자명
- 양미선
- ㆍ 간행물명
- 육아정책포럼
- ㆍ 권/호정보
- 2018년|57권 (통권57호)|pp.31-41 (11 pages)
- ㆍ 발행정보
- 육아정책연구소|한국
- ㆍ 파일정보
- 정기간행물|KOR| PDF텍스트
- ㆍ 주제분야
- 유아교육학
덴마크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사회민주주의와 복지국가의 전통에 따라 국가가 운영되어 왔고, 국민들은 계속해서 선거를 통해 이러한 복지시스템에 견고한 지지를 보내왔다. 결과, 2015년과 2016년 UN 세계 행복 보고서에서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본고에서는 덴마크의 보육・유아교육 정책 현황을 살펴보았다. 덴마크의 보육서비스 유형은 영아 중심의 유아원과 유치원, 연령통합기관, 가정보육 등이 기본적으로 제공되고 이 외에 방과후 센터와 레크레이션 센터,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클럽 등이 제공되어 부모가 요구에 따라 적절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보육・교육서비스는 공립 비율이 높으며 보육・유아교육에 대한 정부 투자는 GDP 대비 2.0%로 OECD국가 중 가장 높다. 0~2세 아동의 보육・교육서비스 이용시간은 주당 평균 35.8시간으로 긴 편이나 취업모 자녀가 대부분이다. 덴마크 정부는 보육・유아교육 서비스 이용료 지원뿐아니라 직접 돌봄에 대한 가정보육 보조금과 아동수당을 지원한다.
1. 들어가는 말 2. 영유아 인구 현황 3. 보육・유아교육서비스 현황 4. 보육・교육 비용 지원 5. 보육료 6. 육아와 가족지원 7.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