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B초등학교 축구부 사례를 통해서 학생선수들의 학습권보장을 위해 시행되고 있는 최저학력제의 시행 실상을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문제점과 금후과제를 제시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 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B초등학교 축구부를 대상으로 질적 연구의 지적 전통 중 하나인 사례연구를 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하여 14명의 연구참여자를 중심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Creswell(2013)이 제시 한 질적 연구 자료분석방법 6단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B초등학교 축구부의 최저학력제 시행 실상은 선수 선발 시 학업성적 반영, 모범생으로서의 축구부, 학부모와 지도자의 철저한 학교성적 관리, 최저학력제 미달학생들의 보충학습, 그리고 공부보다 축구 등으로 나타났다. 또 B초등학교 축구부의 최저학력제 사례를 통한 문제점으로는 형식적인 시험, 주말리그제 폐해, 축구의 사교육화, 그리고 중학교 과정에서 적응상의 어려움 등의 문제점들이 지적되었다. 이들에 대한 금후과제로는 제대로 된 보충학습과 평가, 엘리트 팀과 클럽 팀의 분리, 즐기는 축구로!, 그리고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