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칙적인 운동참여를 통한 신체적 자기개념의 긍정적인 형성과 높은 자아탄력성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 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경기도 Y시 초등학생 329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자료 처리는 운동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행복감에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일원변량분석, 운동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행복감의 인과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운동 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행복감의 차이에서는 주당 ‘4회 이상’ 실시한 집단이 유연함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고, 자아탄력성에서는 감정통제를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행복감에서도 ‘4회 이상’ 집단이 가정환경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운동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행복감의 관계에서는 신체적 자기개념은 자아탄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신체적 자기개념은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자아탄력성은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