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6년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을 위한 연구·지원사업 결과보고서
- ㆍ 저자명
- 최영태,symlog,KEDI 박인심,isheart,KEDI 김경애,celestar,KEDI 김민서,kimms,KEDI 양병찬,김주아,juah,KEDI 이봉주,박민정,mjpedu,K
- ㆍ 간행물명
-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 ㆍ 권/호정보
- 2007년|
- ㆍ 발행정보
- 한국교육개발원|한국
- ㆍ 파일정보
- 연구보고서|KOR| PDF텍스트
- ㆍ 주제분야
- 교육학
<차 례> Ⅰ. 사업 개요 | 1 1. 사업의 정의 | 3 2. 추진 배경과 의의 | 3 3. 사업의 비전과 전략 | 5 4. 사업 추진 및 지원 체제 | 7 5. 주요 사업 영역과 프로그램 | 8 6. 사업 추진 경과 및 현황 | 9 7. 사업 추진 성과 개요 | 13 Ⅱ. 2006년 중앙 연구·지원 센터 주요 사업 내용 및 추진 결과 | 15 1. 주요 사업 내용 | 17 2. 영역별 사업 결과 | 18 가. 연구 | 18 나. 평가 | 41 다. 연수 및 홍보 | 54 라. 네트워크 구축 | 61 Ⅲ. 사업 개선 방안 | 71 1. 사업 추진 방향 | 73 2. 사업추진 주체별 사업 운영 방향 | 84 표차례 <표Ⅰ-1>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주요 영역과 프로그램 | 8 <표Ⅰ-2> 연도별 사업 추진 경과 | 10 <표Ⅰ-3> 2006년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및 교육기관 현황 | 11 <표Ⅰ-4> 사업 추진 성과 개요 | 13 <표Ⅱ-1> 2006년 중앙 연구·지원 센터 주요 사업 내용 | 17 <표Ⅱ-2> 지역별, 학교급별, 조사 대상별 표집 규모 | 31 <표Ⅱ-3> 지역별, 학교급별, 조사 대상별 회송 규모 | 32 <표Ⅱ-4> 조사 대상별 표집과 회수율 | 32 <표Ⅱ-5> 조사 대상별 조사 내용 | 33 <표Ⅱ-6> 사업 시기별 평가 목적 | 42 <표Ⅱ-7> 유아교육기관 평가 영역과 평가 지표 | 43 <표Ⅱ-8> 학교 평가 영역과 평가 지표 | 44 <표Ⅱ-9> 지역 교육청 평가 영역과 평가 지표 | 45 <표Ⅱ-10> 시·도 교육청 평가 영역과 평가 지표 | 45 <표Ⅱ-11> 2006년도 사업 평가 일정 | 46 <표Ⅱ-12> 사업 수행 수준 평가 절대 기준 | 50 <표Ⅱ-13> 사업지원1팀: 시ㆍ도 연구지원 센터 운영 및 사업 평가 경력자 | 67 <표Ⅱ-14> 사업지원2팀: 학교 사업 담당 부장 및 교사, 지역사회교육전문가 | 68 <표Ⅱ-15> 사업지원3팀: 프로젝트조정자 | 68 <표Ⅲ-1> A도 00군 B읍 학교 저소득 가정 학생 현황 | 76 <표Ⅲ-2> 1개 사업 지역 내 사업 학교별 기초생활수급자 및 지원학생 현황 | 77 <표Ⅲ-3> 사업 지역과 농촌 저소득층 밀집 지역의 기초생활수급가정 학생 수와 비율 비교 | 80 <표Ⅲ-4> 학교급별 기초생활수급가정 학생 수와 비율 | 83 <표Ⅲ-5> 고등학교 계열별 기초생활수급가정 학생 비율 | 83 그림차례 [그림Ⅰ-1]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전략 | 6 [그림Ⅰ-2]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추진 및 지원체제 | 7 [그림Ⅱ-1]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만족도 및 성과 분석틀 | 34 [그림Ⅱ-2] 사업 평가 절차 | 47 [그림Ⅱ-3]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생 홈페이지 | 66 [그림Ⅲ-1] 사업 지역 범위 확대 방향 | 79